티스토리 뷰
[mysql 설치]
사용자 추가하기
groupadd mysql
useradd -g mysql -s /bin/false mysql
파일다운받기
wget ftp://ftp.superuser.co.kr/mysql/mysql-5.1.32.tar.gz
tar -xvzf mysql-5.1.32.tar.gz
cd mysql-5.1.32
혹시 컨피그, 메이크 시에 에러가날수도있으므로,그것을대비해서먼저의존패키지를몽땅설치한다.
sudo apt-get build-dep mysql-server
컨피그 옵션 주고~
./configure --prefix=/usr/local/mysql --enable-assembler --localstatedir=/usr/local/mysql/data --with-charset=euckr --with-innodb --with-mysqld-user=mysql --enable-thread-safe-client --with-mysqld-ldflags=-all-static –with-client-ldflags=-all-static
(혹시 붙여넣기 하면 안될수도 있음 -_ -;; 잘 보세요 ㅋㅋ)
make && make install
[사용자 권한 설정]
chown -R root /usr/local/mysql/
chown -R mysql /usr/local/mysql/data/
chgrp -R mysql /usr/local/mysql/
환경파일 복사
cp /usr/local/mysql/share/mysql/my-medium.cnf /etc/my.cnf
기본 DB 생성
/usr/local/mysql/bin/mysql_install_db
[잠깐]
DB 생성중에
090821 3:57:10 [ERROR] /usr/local/mysql/libexec/mysqld: unknown option '--skip-federated'
090821 3:57:10 [ERROR] Aborting
090821 3:57:10 [Note] /usr/local/mysql/libexec/mysqld: Shutdown complete
위와 같은 에러를 만나면,
vim /etc/my.cnf 를 열어서
# Disable Federated by default
skip-federated <<<< 이 부분을 주석처리 하여 아래와 같이 바꿔준다.
#skip-federated
이런 메시지는
[ERROR] Can't start server: Bind on TCP/IP port: Address already in use
이미 mysql이 사용중이거나, 3306 기본포트를 누군가 사용중이란 에러
DB 생성중에
FATAL ERROR: Could not find mysqld 이런 문구를 만나면,
rm -r /etc/mysql를 한다.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etc에 mysql디렉터리가 생긴다. 따라서 지워주면 끝)
DATA 디렉터리 권한 설정
chown -R mysql:mysql /usr/local/mysql/data
chown -R root /usr/local/mysql/
chgrp -R mysql /usr/local/mysql/
심볼릭 링크 걸기 (아무곳에서나 사용 가능한 mysql mysqldump 위해)
ln -s /usr/local/mysql/bin/mysql /usr/bin/
ln -s /usr/local/mysql/bin/mysqldump /usr/bin/
[mysql 실행]
mysql이 혹시 실행되고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killall mysqld
killall mysql
을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래와 같은 메세지 발생)
071009 21:27:28 [ERROR] Can't start server: Bind on TCP/IP port: Address already in use
그다음 실행
/usr/local/mysql/bin/mysqld_safe &
[root 비번 설정]
mysql -u root mysql
mysql> UPDATE user SET password=PASSWORD('xxxxxxxx') WHERE user='root';
mysql> FLUSH PRIVILEGES;
이렇게 하면 설치 끝
[자동시작 등록]
cd /usr/local/mysql-5.1.32/support-files
cp mysql.server /etc/init.d/mysqld
chmod 700 /etc/init.d/mysqld
vi /etc/init.d/mysqld
// 154 줄을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 버전에 따라 다름.. 다음 부분을 잘 찾아서 고칠 것
$bindir/mysqld_safe --datadir=$datadir --pid-file=$server_pid_file --user=mysql >/dev/null 2>&1 &
저장하고 나와서
chkconfig -add mysqld
이렇게 하면 우분투 시작시 자동으로 실행됨 ㅋ
첨부파일 : 위 포스트에서 사용된 mysql
'전공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PHP 설치 / 리눅스 PHP 설치 (0) | 2009.08.27 |
---|---|
우분투 톰캣 설치 / 리눅스 톰캣 설치 (0) | 2009.08.26 |
우분투 Apache(아파치)웹 서버 설치하기 / 리눅스 아파치 웹 서버 설치하기 (0) | 2009.08.26 |
우분투 JAVA 설치하기 / 우분투 JAVA 패스 설정 / 우분투 JAVA 환경변수 설정 (0) | 2009.08.26 |
우분투 FTP설치 / vsftpd 설치 (0) | 2009.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