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 헤더파일을 다음과 같이 작성함. #ifndef _A_H #define _A_H ..... ..... #endif A.cpp 소스 파일에서 다음과 같이 아무거나 작성. #include // 옆과 같은 cpp에서 사용할 헤더파일을 include #include ..... // 사용할 include 를 다 적고 마지막으로 자신의 헤더 파일을 include #include "A.h" (코드 작성 시작) .,,, -끝- 컴파일시 #ifndef 를 만나면, _A_H (정의된 명칭) 가 이미 컴파일이 되었는지 확인함. 만약 컴파일 되지 않았을 경우엔 컴파일을 하고, 컴파일을 이미 했을 경우엔 컴파일하지 않고 지나침. 즉, 같은 헤더파일들이 여러번 중복되어 컴파일 되는것을 막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간주.
자신이 직접 CxImage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고 싶은 분들은 1번부터 순서대로 따라하시구요, 급한 마음에 난 다른거 필요없고 MFC에서 CxImage만 사용하면 된다 싶으신 분들은 바로 아래 ppt와 zip파일을 다운받아 주세요. 그럼 시작합니다.~ 1. CxImage 다운로드 링크 >>> http://www.xdp.it/ 가서, 자신의 버전에 맞는 걸로 다운받음. ( 글쓴이는 VS6 Full 버전을 받았음 ) 2. 압출을 풀고 나서, 폴더에 있는 CxImagLib 를 VS6으로 열음. 3. 옆에 workspace에서 [File] 탭을 클릭하고 CxImage Files, CxImage crtDll Files, CxImage MfcDll Files 를 아래와 같이 build 시킨다. (마우스 오른쪽 -> ..
Windows XP NT로더를 이용하여 리눅스도 부팅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일단 윈도우 XP가 먼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1. 리눅스를 설치하고 나서, 리눅스로 부팅한다. 명령창을 띄우고 아래와 같은 명령을 내린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sda 라는 부분은 리눅스 MBR영역이 어디인지를 알아야한다. dd if=/dev/sda of=inxboot.sec bs=512 count=1 나의 경우 sda (프라이머리 하드) sdb (슬레이브) 로 되어있는데, 리눅스 설치시 부트로더가 어디에 설치될 것인지를 특별히 정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sda MBR에 Grub이 설치되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명령을 해 주었다. 하고 나니 Home 디렉터리에 inxboot.sec 파일이 생겼는데, 이것을 USB로 옮긴다. ..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 다운 사이트 변경] Daum에세 우분투 패키지를 업데이트 받을 수 있다.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에서 무언가 설치하려는데... 다운로드 속도가 개판 -_ - 그래서 알아낸 것이 있다. 아래와 같이 하면, 다음에서 우분투에 대해 업데이트 받는다. 아래의 jaunty 부분만 자신의 우분투 버전에 맞게 수정하여 주면 된다. ^^ vim /etc/apt/sources.list deb http://ftp.daum.net/ubuntu/ jaunty main multiverse restricted universe deb-src http://ftp.daum.net/ubuntu/ jaunty main multiverse restricted universe deb http://ftp.daum.net/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