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에서 자신의 하드웨어 정보를 보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설치] apt-get install lshw [실행] lshw (매우 상세한 하드웨어 정보) 만약 콘솔에서 뿐 아니라, html로 전체적으로 보고 싶은 경우 아래와 같이 경로를 지정해 주고 파일 이름을 지정해 주면 된다. (현재, home 폴더에 lshw.html 파일 이름으로 하드웨어 정보를 저장) lshw -html >/home/lshw.html (웹으로 보기) 위 하드웨어 정보를 보는 것은 루트 권한으로 실행해야 더 자세히 나옴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다능 ㅎㅎ) 이것 말고도 여러가지 있는 것 같은데, lshw가 사용하기 편하고, 우분투 외의 다른 리눅스에서도 된다고 들었다.
플로우레이아웃 : 상단부 정 중앙부터 추가된 컴포넌트를 배치시킨다. 그리드레이아웃 : 행렬을 이용하여 각종 컴포넌트를 배치시킨다. 바더레이아웃 : 동, 서, 남, 북, 중앙 으로 이뤄진 각 영역에 컴포넌트를 위치시킨다. 카드레이아웃 : 컴포넌트를 여러겹으로 겹쳐놓고 한장씩 꺼내서 보일 수 있게 한다. 그리드백레이아웃 :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행렬의 방식을 이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아래는 각 레이아웃 관리자별 예제 FlowLayout 관리자 ------------------------------------------------------------------------- import java.awt.*; class Exam0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
통상 사용되는 방법 Frame을 직접 객체로 생성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클래스를 상속받아서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예제 --------------------------------------------------------------------------- import java.awt.*; class Exam0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xam02_Sub ex = new Exam02_Sub("자바를 잡아라"); } } //프레임 클래스를 상속받아서 사용하는 클래스 class Exam02_Sub extends Frame { public Exam02_Sub(String title){ //기본 생성자로 받은 "자바를 잡아라"란 구문을 상위 클래스에 ..
첫시간. 자바 GUI 기초 - 프레임을 생성해 보자. 프레임은 보통 틀을 말한다. 아래의 소스 코드를 실행시키면 타이틀이 "제목" 이라는 빈 창이 덩그러니 생긴다. 설명은 코드 주석에 처리하였음. ------------------------------------------------------------------------------------------------------------- import java.awt.*; class Exam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rame f = new Frame(); Frame f1 = new Frame("제목"); //프레임 크기 선언 f.setSize(300, 300); f1.setSize(150, 150..
BufferedReader 함수 라인단위 또는 캐릭터 배열 단위의 입력을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다. 파일, 또는 키보드로 부터 입력 받기 가능하다. 키보드로 부터 입력을 받는 경우 BufferedReader 변수명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파일로 부터 입력을 받는 경우 BufferedReader 변수명 = new BufferedReader(new FileReader("파일명.확장자")) 파일은 작업하는 workspace 에 프로젝트 폴더 내에 위치하거나 따로 경로를 지정해야 한다. 예제>